본문 바로가기
about 중국

한국 기업이 중국 시장에 진출해 빠르게 실패하는 방법

by ROD NOTE 2024. 5. 28.

2024년 현재, 필자도 탈중국을 진지하게 고려해본적이 있지만, 중국에 이렇게 오래 살았고 중국인들이 한국인들의 돈을 그렇게 벌어먹고 있는데, 나도 중국인들 돈좀 벌어먹어보자는

 

이번에는 한국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 성공사례들을 살펴보며 관련 기사들과 더불어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았다.

 

중국인 '해외직구' 시장 규모

 

1. 중국은 이커머스 강국이다. 부정하고 싶지만 현실이다.

 

2. 역사적으로 중국의 산업은 '단계를 건너 뛰어넘어버리는' 발전을 해왔다.

대표적인 예시가 현금에서 카드 단계를 뛰어넘어 버리고 바로 디지털결제 (위챗페이, 알리페이 등)으로 넘어간 것이다.

 

3. 2023년인 작년 중국의 온라인 소매 판매액은 약 8.4%의 성장률을 보이며, 13조 위안 (한화로 환산 시 약 2400조 원)의 규모이다.

 

4. 광둥 성, 상하이, 베이징, 장쑤성, 저장성 5개 지역 고소득액 인구수가 전국의 44% 비중을 차지했다. 

 

5. 중국 내수시장 경제가 위축돼 재고가 쌓이니 해외진출에 매우 진심이다.

심지어 중국이 자국 내 남아도는 철강까지 저가로 밀어내기식 수출을 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1억 톤가량의 공급과잉이 일어나고 있다. 

 

6. 대다수 한국기업들은 중국에서 죽을 쑤고 있다. 이미 철수한 한국 기업이 태반이다.

한중수교한 지 이미 32년이 넘었고, 지난 30년 동안 한국제품들이 돈을 많이 벌었지만 

이제는 절대 아니고, 앞으로도 아닐 것이다.

7. 2023년 대중국 무역수지 30여 년 만에 첫 적자 적자규모 무려 180억 3600만 달러다.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전체 해외매출의 절반이 중국에서 발생하는데

중국 수출이 부진하면서

2022년 해외 영업이익이 1년 만에 -85%를 기록했다

LG생활건강도 중국 매출이 감소하고 있다.

 

8. 중국 제품이 기술력은 점점 높아지는데 가격은 싸다 

 

9. 한국 브랜드의 프리미엄이미지가 약하다. 구매할 이유가 없다.

가령 삼성 휴대폰으로 예를 들면, 애플과 화웨이 사이에서 이도 저도 아닌 샌드위치 국면이다.

 

10. 중국인들의 애국 소비 성향을 무시하면 안 된다.

2023년부터 중국 정부 공무원, 공공기관 아이폰을 비롯한 외국 핸드폰 사용금지 

 

11. 하지만 한국 제품들이 부진하는 근본적인 문제는 애국소비성향 이 딴 게 아니라 '가성비' 다.

 

12. 못 비빌 것 같으니, 빠른 손절 후 탈 중국도 하나의 좋은 방법이지만 

다른 나라로 진출하면 그 나라에는 중국 가성비 제품이 없는가도 중요한 쟁점이다.

남미, 중동, 동남아 전 세계 어딜 가든 중국 제품들을 흔히 볼 수 있고, 중국 핸드폰 브랜드들이 해당나라들에서 이미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13. 고로 앞으로 전 세계 어느 시장에 진출하던 중국 가성비 제품과 싸워나가야 하는 수밖에 없다. 

 

14. 약점이 없는 제품은 없다. 중국 제품의 약점이 뭔지 철저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싸움을 피하지 말고 제품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현지화를 통해 성공한 대표적인 해외기업?

맥도널드, KFC, 스타벅스 

 

이들은 철저히 중국을 분석해서 진입했고, 결국 성공했다.

예를 들면 이들은 중국식 아침메뉴, 중국의 차까지 메뉴에 추가했고 성공적으로 포지셔닝했다. 

 

현지화를 통해 성공한 대표적인 한국기업?

오리온의 초코파이, 농심의 신라면, 풀무원 두부, 락앤락 , CJ CGV, 연세우유

 

대표적으로 오리온의 초코파이를 예로 들자면, 철저한 문화적인 접근으로 소비자들의 마음을 잡은 것이다.

초코파이의 중국어 이름 또한 好利友로 지으며 뜻을 담았다. 

또한 그 콘셉트에 걸맞게, 가족, 친구, 어른공경 등의 주제로 광고 영상도 제작해 성공적인 광고를 진행했다.

 

자 그럼 정리를 해보니,

 

빠르게 실패하고 싶다면

중국인의 애국주의, 실리주의, 문화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지 않고

한국에서 잘 됐으니, 중국에서도 먹히겠지 하는 등의 생아집을 부리고

중국인의 애국소비등을 탓하면서 현지화를 일절 하지 않으면

보다 빠르게 실패할 수 있겠다.

 

그럼 실패하지 않고 싶으면, 최소한 위의 행위들을 안 하면 되겠다.

그리고 아래의 관점들에서 사업을 기획해야 되겠다.

 

1. 중국의 문화들을 공부해 문화적인 측면에서 접속

2. 문화를 담거나, 좋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중국어 한자 브랜드 네이밍

3. 중국인의 실리주의, 애국주의, 문화적 자부심 고려

4. 가성비 소비, 프리미엄 소비등 양극화 현상에 입각한 타겟 선정, 가격 책정 및 브랜드 포지셔닝 

5. 중국 제품의 약점과 강점에 대한 철저한 분석 

 

들을 통해 중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아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