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결은 실무에서 늘 나를 괴롭히는 참으로 성가신 놈이다.
당장 풀어야 할 문제는 넘쳐나는데 시간은 촉박하고, 스트레스는 날 매분매초 스토킹한다.
눈앞의 불부터 꺼야 하니, 문제를 무시해 버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중요한 건, 단기적인 해결에만 매몰되지 말고,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아내야 한다.
쉽게 요약하면, 응급처치를 하는 동시에 왜 아픈지까지 파악하는, '두 마리 토끼' 잡기 스킬을 강화해야 한다.
문제 해결은 이렇게 하자.
1. 문제가 발생했다.
갑자기 판매중인 제품의 제조 공정에서 문제가 생겼다고 치자.
이때 어떡해... 어떡하지... 만 남발하면서 당황하지 말고 제발 일단 상황 먼저 파악하자.
2. 문제를 보고한다.
상사에게 바로 뛰어가 큰일 났다고 외친다. 다만 여기서 포인트는, 상사의 입장에서 들었을 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긴급 대책도 함께 말해야 한다.
문제 현황만 떠넘기면 관심병사가 된다.
3. 해결책을 찾는다
'대체 왜 이런 일이 발생했지?'라고 혼자 자문자답하면서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아내야 한다.
단, 여기에 감정적이거나 주관적인 판단은 들어가면 안 된다.
예를 들어, 이 사태가 "운이 나빠서" 라고 생각하면 사회의 모든 지인을 잃을 수 있다.
차분하고 객관적으로 문제를 보자.
4. 실행하고 보고한다
해결책을 찾아내면 실행으로 옮기자 제발.
그리고 상사에게 보고좀 해라.
여기서 가장 중요한 건 해결책이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문제 해결에 있어 반드시 기억해야 할 자세 5가지
1. 상사의 마음을 읽자
상사는 어떻게 보면 스승과 같다. "이 일을 니가 스스로 해결하는 모습을 지켜보마" 하겠지만, 그렇다고 모든 걸 혼자 떠안으면 큰일 난다. 빠르게 보고하고 함께 해결하자. 상사도 사람이다.
2. 감정적인 반응 금지
"아, 이건 분명히 김 차장 때문이야" 식으로 문제 원인을 추측하지 말자.
문제 해결에 필요한 건 팩트이지, 감정이 아니다. 차분하게 대응하는 게 프로다.
3. 겉모습에 속지 말자
문제가 보이는 것만 보고 " 아, 이거네, 이게 원인이네"라고 속단하지 마라.
예를 들어,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돈이 부족한 진짜 이유를 찾아야 한다.
겉으로 보이는 이유는 늘 그럴싸해 보이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무조건 따로 있다.
4. 분석만 하다 잠드는 실수를 피하자
너무 분석에만 몰두하다 보면 중요한 건 실천인데, 뭣이 중한지 모르고 놓쳐버릴 수 있다.
아무리 분석을 잘해도 해결책을 실행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어느 정도 분석이 끝났다면 바로 실행하자.
5. 압박감을 즐기자
문제 해결에서 스트레스는 기본 옵션이다.
중요한 건 이 스트레스를 나의 성장 과정이라고 생각하며 즐기는 것이다.
스트레스와 압박감이 없으면 성과도 없다.
결론은,
문제가 발생하면 겁먹지 말고 하나하나 차근차근 해결하는 실무자가 되자
문제를 즐기며 해결하는 사람이 진짜 프로다
문제 해결능력은 게임으로 치면 스킬과도 같다.
끊임없이 숙련되며 강화된다.
믿어라.
'about 창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스타트업 IR, 투자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방법은? (2) | 2024.10.18 |
|---|---|
| 시장 점유율 분석? 그거 어떻게 하는 건데? (1) | 2024.10.04 |
| 아직도 재구매 고객을 우습게 생각하나? (1) | 2024.07.08 |
| 상표권 등 침해 내용증명? 키프리스로 검색해보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1) | 2024.07.02 |
| 비즈니스 이메일 작성법 제발 좀 숙지하자. (1) | 2024.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