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bout 창업

시장 점유율 분석? 그거 어떻게 하는 건데?

by ROD NOTE 2024. 10. 4.

시장 점유율 분석이란 결국, 게임으로 치면 우리가 이 서버에서 몇 등인지 알아보는 것으로 이해하면 쉽다.

근데 단순히 매출만 보고 우리가 잘하고 있네라고 착각하면 안 된다.

이건 마치 내가 달리기 대회에서 1시간 동안 혼자 뛰어놓고 나 1등이네라고 생각했는데

근데 다른 사람들은 알고 보니 30분 전에 이미 다 도착한 것과 같다. 

그래서 시장 점유율 분석은, 경쟁 플레이어들과 비교하는 게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어떻게 개념을 잡아야 하냐고?

 

1. 데이터 수집과 가공이 중요하다.

데이터란 무조건 많이 모은다고 좋은 게 아니다.

제대로 가공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없다.

마치 식재료를 엄청 많이 사놓고 요리는 안 하고 방치해 두는 거랑 비슷하다.

신빙성 있는 전문 데이터 사이트들을 참고해서 유용하게 써야 한다. 

 

2. 우리 성과만 보고 우물 안에서 깐죽대지 좀 마라 

예를 들어, "우와 올해 매출이 100% 늘었네" 하고 자랑하면서, 회삿돈을 펑펑 써대지 마라.

시장 전체가 200% 성장했고, 경쟁자들은 200% 넘게 성장했을 수 있다.

이런 개념에서 보면 우리의 성과는 사실 평균 이하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언제나 경쟁 플레이어들과의 비교가 필수다.

비즈니스는 혼자 솔로게임 하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잊지 마라 

 

3. 커버리지 분석을 놓치면 안 된다.

시장 점유율은 단순히 우리가 얼마나 팔았는지 만 보는 게 아니다.

여기서 중요한 게 고객 커버리지와 상품 커버리지인데 이게 뭐냐면

고객 커버리지 : 우리 제품을 몇 퍼센트의 고객이 쓰고 있는지. 즉 우리가 아직 다 못 잡은 고객층이 있나? 를 봐야 함

상품 커버리지 : 우리가 제공하는 제품이 시장 전체에서 얼마나 많이 공급되고 있는지를 보는 것. 이때 빠뜨린 제품이 있나 확인해야 함.

 

 

시장 점유율이 낮은 이유? 세 가지 가능성

 

1. 고객을 놓쳤다

우리 제품을 사지 않는 고객이 있다는 얘기.

이걸 해결하려면, 누구를 놓쳤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2. 충분한 상품군을 제공하지 못했다

혹시 우리가 시장에 내놓지 못한 제품이 있나? 

마치 메뉴에 대표 요리를 빠뜨린 식당 같은 상황. 

 

3. 경쟁력이 떨어졌다.

고객과 상품 커버리지 다 괜찮은데도 경쟁자한테 밀리고 있다면?

왜 경쟁자한테 밀리는지부터 알아야 한다.

가격 때문인지, 품질 때문 인지, 아니면 서비스가 개판인지

가끔은 우리가 뭔가 놓치고 있는 진짜 이유가 숨어있을 수 있다.

 

 

결론: 

시장은 날이 갈수록 더 빠르게 변하고 있고

경쟁은 치열하다.

게임에서 이기려면 단순히 얼마를 벌었는지보다는 경쟁자들과의 상대적 위치를 항상 파악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그리고 고객과 상품 or 서비스 커버리지를 체크해서 놓친 부분을 찾아내고 개선하는 게 핵심이다.

이런 기본적인 과정들도 생각하지 못하고, 그저 매출 조금 오르면 사장병 걸려서 마치 지들이 대단히 열심히 해서 업적을 이뤄낸 마냥 똥허세 잡고 사업이 영원할 것이라는 착각의 늪에서 안일하게 사는 양반들 진짜 많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정도의 일을

나만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착각하지 말자 

세상은 넓고 할 놈도 많고 쌘 놈은 넘친다.

진짜다.